Developer MJ

[AWS] 시스템 운영 - AWS 서비스 이해 본문

AWS

[AWS] 시스템 운영 - AWS 서비스 이해

MIN JOON 2019. 1. 24. 22:18

AWS 기반 서비스 이해
  • VPC -  Network 서비스
    • AWS 클라우드 내 논리적으로 독립된 고유 영역으로 다른 네트워크와 분리되어 있다.
  • EC2 - Computing 서비스
    • IP
      • Private - 서브넷 안에서만 접근 가능한 IP ( EC2 재부팅 시 재할당 )
      • Static Public - 인터넷으로 접근 가능한 IP  ( EC2 재부팅 시 재할당 )
      • Elastic Public - 인스턴스의 상태에 상관없이 인터넷으로 접근 가능한 고정 IP
    • Security Group - Inbound 와 Outbound 보안규칙을 갖는 방화벽
      • 소스는 IP 또는 미리 정의된 SG를 지정가능하며, SG일 경우 SG 내 특정 IP를 고려할 필요 없다.
    • 169.254.169.254 - EC2 인스턴스 내부에서 인스턴스의 메타데이터를 확인가능한 IP
      • public IP와 같은 인스턴스의 추가적인 정보를 내부에서 확인할 떄 용이하다.
      • ex> export INSTANCE_ID=$(curl http://169.254.169.254/latest/meta-data/instance-id)
  • IAM - Access 관리 서비스
    • JSON 형태 정책문서에 권한이 명시된다.
    • 자격증명 기반, 리소스 기반, 서비스 기반, 엑세스 제어목록 기반이 있다.
    • 그룹 단위 권한부여 가능하다.
    • 역할
      • 권한을 제어하고 인증이 없다.
      • 일부 AWS 서비스에 부여가 가능하다
        ( ex> EC2에 S3 접근권한을 부여하여 S3 Key 없이 EC2 내 프로그램이 접근 가능하게 함)
  • Cloud Formation - Infrastructure as Code 서비스
  • Subnet - VPC 안의 논리적 네트워크 세그먼트
    • 단일 가용영역에 연결됨
  • Internet Gateway - VPC 내 인스턴스와 인터넷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함
  • 서비스 별로 범위 한정
    • AZ 기반 - EC2, EBS, RDS, etc
    • 리전 기반 - VPC, S3, AMI, etc
    • 글로벌 기반 - IAM, Route 53, Cloud Front, etc 
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WS] 시스템 운영 - 컴퓨팅  (0) 2019.01.24
[AWS] 시스템 운영 - 도구 및 자동화  (0) 2019.01.24
[AWS] Data Store 특징  (0) 2017.10.11
[AWS] AWS 인프라 - Basic  (0) 2017.09.29
[AWS] AWS 소개  (0) 2017.09.29